2018년 12월의 인터넷 서비스 동향 |
1. PC 인터넷
2018년 12월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4.2% 감소한 1,145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크리스마스 및 연말 연휴기간 외부활동 증가의 영향으로 PC 활용이 둔화된 것으로 보입니다. 주요 경제활동인구 연령대인 25~59세의 PC 이용 시간이 2% 이상 감소하였으며, 특히 30대 중후반(35~39세)의 PC 이용시간이 12.2% 가장 많이 감소하였습니다. 반면, 겨울방학으로 PC 가용시간이 늘어난 7~24세 연령층의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유지되거나 소폭 증가하였으며, 60대(60~69세)의 경우 전월 대비 5.8% 감소하였던 11월 PC 활동성이 다소 회복되며 2.0% 증가하였습니다. |
- 전월 대비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 (2018년 12월) - |
 |
PC 인터넷 이용자들이 12월 방문한 웹사이트의 평균 개수는 전월 대비 3.6% 감소한 35.0 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7~18세 및 55~69세 연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웹사이트 방문 개수가 감소하였으며, 특히 PC 이용시간이 가장 많이 감소한 30대 중후반(35~39세)는 웹사이트 방문 개수도 전월 대비 8.4%로 가장 크게 감소해 41.3개를 기록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 (2018년 12월) - |
 |
PC 웹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는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, 크리스마스 및 연말 연휴기간 외부활동 증가의 영향으로 PC 활용이 둔화되면서 ‘컴퓨터/인터넷’, ‘기관단체’, ‘금융부동산’을 제외한 대부분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평균체류시간 및 페이지뷰가 전월 대비 6% 이상 크게 감소하였습니다. 특히, 연말 대규모 할인 행사의 영향으로 전월 트래픽 증가를 견인했던 ‘전자상거래’ 카테고리의 평균 체류시간과 페이지뷰는 10% 이상 줄어들었습니다. 반면, 12월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활동성 저하에도 불구하고 ‘컴퓨터/인터넷’ 카테고리는 웹하드/P2P 사이트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의 평균 페이지뷰가 전월 대비 증가하였으며, 학사일정 종료, 연차 소진 등 휴일 증가로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소비가 활성화되어 이용량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됩니다. 또한, ‘금융부동산’ 카테고리에서는 12월 청약제도 개편 등 부동산 시장의 큰 변화와 함께 40-50대를 중심으로 부동산과 투자/금융/재테크 사이트의 활동성이 전월 대비 개선되었습니다. |
- PC 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/평균체류시간/페이지뷰 증감률 (2018년 12월) - |
 |
2. Mobile
2018년 12월 Mobile 평균 인지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6.8% 증가한 7,279분으로 확인되었습니다. 연말연휴 외부활동 증가로 틈새시간을 이용한 보완적 미디어 이용이 증가하고, 겨울 방학 등 시기적 특성의 영향으로 전 연령층에서 Mobile 이용시간 및 활동성이 늘었습니다. 학사 일정 종료 및 방학 개시의 영향으로 10대 후반(13~19세) 및 20대 초반(19~24세)의 평균 인지 이용시간이 모두 전월 대비 12.4%로 집계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Mobile(Web+App) 평균 인지이용시간 (2018년 12월) - |
 |
당월 Mobile 이용자의 평균 이용 APP 개수는 전월 대비 1.7% 증가한 58.3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50대 초반(50~54세)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이용 애플리케이션 개수가 늘어났으며, 특히 7~12세 연령층의 애플리케이션 이용개수는 8.2%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. 또한, 30대(30~39세)는 평균 72개의 앱을 사용하여 조사 대상 연령층 중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Mobile 이용 App 개수 (2018년 12월) - |
 |
12월 Mobile App 주요 카테고리별 이용자수는 ‘게임’ 카테고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카테고리에서 소폭 증가하였으며, Mobile App 활동성은 ‘전자상거래’와 ‘금융/부동산’ 카테고리를 제외한 모든 카테고리의 평균 이용시간이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. ‘멀티미디어&엔터테인먼트’ 카테고리는 10~20대 연령층의 ‘동영상/방송’ 콘텐츠 소비활동 증가를 중심으로 이용시간 및 재이용일수가 전월 대비 각각 11.4%, 4.2% 증가하였습니다. 10~20대는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의 핵심소비층으로 방학 시즌을 맞이하여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타임킬링용 콘텐츠 소비와 전반적 미디어 접촉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. ‘게임’ 카테고리는 연휴 및 방학으로 인한 여가시간 증가와 함께 12월 다양한 장르의 신작 모바일 게임이 출시되면서 10~50대 연령층의 게임 이용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어 평균이용시간과 재이용일수는 각각 8.5%, 3.9% 증가했습니다. 반면, 11월 ‘오픈마켓’과 ‘소셜커머스’를 중심으로 한 블랙 프라이데이 및 연말 할인 이벤트 종료의 영향으로 평균 이용시간이 늘어났던 ‘전자상거래’ 카테고리의 경우 평균 이용시간이 전월 대비 4.3% 감소하였습니다.
|
- Mobile(App) 카테고리별 이용자수/평균이용시간/재이용일수 증감률 (2018년 12월) - |
 |
3. PC Query Trend
12월 PC 인터넷 검색어 TOP20은 전월에 이어 ‘유튜브’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, ‘네이버’, ‘구글’, ’다음’ 등 포털 사이트 내비게이션 검색어가 상위권을 유지하였습니다. <나 혼자 산다> 프로그램과 연말 각종 시상식의 영향으로 ‘전현무한혜진’, ‘화사’가 상위권 순위에 진입했으며, ‘차주혁’, ‘선풍기아줌마’ 등 다양한 사건·사고와 관련된 키워드도 20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 한편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 ‘마녀공장’이 엘앤피코스메틱의 자회사로 편입된다는 소식을 알리고, 파격적인 할인 행사를 진행함에 따라 검색어 순위에 새롭게 랭크되었습니다. |
- 2018년 12월의 PC 인기 검색어 순위 - |
(단위: 1,000) |
순위 |
검색어 |
순방문자 |
쿼리수 |
1 |
유튜브 |
2,830 |
12,181 |
|
2 |
네이버 |
2,348 |
8,910 |
|
3 |
구글 |
1,807 |
4,718 |
|
4 |
전현무한혜진 |
1,705 |
2,758 |
|
5 |
다음 |
1,630 |
5,585 |
|
6 |
쿠팡 |
1,472 |
4,089 |
|
7 |
화사 |
1,442 |
2,267 |
|
8 |
농협인터넷뱅킹 |
1,429 |
4,982 |
|
9 |
차주혁 |
1,322 |
1,690 |
|
10 |
선풍기아줌마 |
1,307 |
1,562 |
|
11 |
허지웅 |
1,296 |
1,924 |
|
12 |
국민은행 |
1,279 |
3,819 |
|
13 |
민원24 |
1,194 |
2,130 |
|
14 |
마녀공장 |
1,182 |
1,673 |
|
15 |
날씨 |
1,056 |
3,497 |
|
16 |
옥션 |
1,016 |
2,468 |
|
17 |
손태영 |
1,012 |
1,392 |
|
18 |
손승원 |
1,011 |
1,417 |
|
19 |
신한은행 |
991 |
2,714 |
|
20 |
국민은행인터넷뱅킹 |
945 |
3,445 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