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8년 3월의 인터넷 서비스 동향 |
1. PC 인터넷
2018년 3월 PC 인터넷 평균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15.0% 증가한 1,220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3월은 전월 설 연휴로 인해 감소했던 PC 이용이 회복되며 대부분 연령대의 평균활동성이 상승하였습니다. 그러나 3월부터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PC 가용시간이 감소한 10~20대 초반은 타 연령대 대비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작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모습이 목격되었습니다. |
- 전월 대비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 (2018년 3월) - |
 |
PC인터넷 이용자의 3월 평균 웹사이트 방문 개수는 전월 대비 11.4% 상승한 38.1개로 전월 하락분이 회복되었습니다. 평균 이용시간과 유사하게 대부분 연령대의 평균 웹사이트 방문 개수가 상승하였으나, 학사 일정의 영향을 받은 10대 후반~20대 초반은 타 연령대 대비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작거나 오히려 하락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 (2018년 3월) - |
 |
3월 전체 PC 활동성이 크게 상승함에 따라 PC 주요 카테고리 전반의 이용 규모 및 평균 활동성도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. 주요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, ‘포털사이트’는 남성 30대를 중심으로, ‘전자상거래’는 여성 30대를 중심으로 평균체류시간과 페이지뷰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. 반면, ‘컴퓨터/인터넷’ 카테고리는 평균체류시간이 전월 대비 2.6%로 소폭 감소하였는데, 도로주소명 안내시스템 사이트를 중심으로 카테고리 방문자수가 6.6%로 크게 증가했으나 체류시간 증가는 4.0% 수준에 그치면서 평균 활동성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PC 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/평균체류시간/페이지뷰 증감률 (2018년 3월) - |
 |
2. Mobile
3월 Mobile 평균 인지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7.2% 증가한 7,125분으로 나타났습니다. 전월 연휴로감소했던 Mobile 이용이 회복되면서 대부분 연령대에서 평균 활동성이 증가한 가운데, 특히 30대~50대는 모두 10% 이상 크게 증가했습니다. 반면, 10대는 본격적인 학사일정이 시작되면서 Mobile 이용이 전월 대비 오히려 10% 가량 감소한 모습입니다.
|
- 전월 대비 Mobile(Web+App) 평균 인지이용시간 (2018년 3월) - |
 |
3월 Mobile 평균 이용 App 개수도 평균인지이용시간과 마찬가지로 전월 대비 증가한 58.2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대부분 연령대의 평균 이용 App 개수가 증가하였으며, 특히 30대 초반의 평균이용 App 개수가 7.4%로 가장 크게 늘어났습니다. 반면, 평균이용시간 하락이 가장 컸던13~18세 연령층은 평균이용 App 개수도 6.6%로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Mobile 이용 App 개수 (2018년 3월) - |
 |
3월 Mobile 주요 카테고리들의 이용자 규모가 모두 전월 대비 소폭 증가한 가운데, 전월 대비 월간일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재이용일수도 모두 증가하였으며 평균 이용시간도 대부분 증가하였습니다. 주요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, ‘커뮤니케이터(APP)’는 여성 30~40대를 중심으로 카카오톡 이용이 늘어나 전월 감소했던 활동성이 회복되면서 평균이용시간이 11.4%로 크게 증가했습니다. ‘Commerce’도 전월 설 연휴 영향으로 감소했던 이용이 회복되며 이용자수와 평균이용시간이 각각 3.6%, 9.0% 증가했으며, 대부분 개별 서비스들의 성과가 개선되었습니다.
|
- Mobile 카테고리별 이용자수/평균이용시간/재이용일수 증감률 (2018년 3월) - |
 |
3. PC Query Trend
3월 PC 인터넷 검색어 TOP 20에도 ‘유튜브’, ‘네이버’, ‘다음’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 내비게이션 목적의 검색어가 최상위권에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, ‘이태임’, ‘워너원방송사고’ 등 연예 관련 이슈가 주요 관심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. 그 외에도 미투(Me Too) 운동이 사회 전반으로 퍼져 이슈가 지속되면서 가해자로 보도된 유명인들의 실명이 검색어 상위권에 머무르거나 새롭게 올라왔습니다.
|
- 2018년 3월의 PC 인기 검색어 순위 - |
(단위: 1,000) |
순위 |
검색어 |
순방문자 |
쿼리수 |
1 |
유튜브 |
3,224 |
13,207 |
|
2 |
네이버 |
2,714 |
9,214 |
|
3 |
다음 |
2,141 |
6,651 |
|
4 |
이태임 |
2,104 |
4,037 |
|
5 |
민원24 |
1,840 |
3,471 |
|
6 |
구글 |
1,828 |
5,861 |
|
7 |
정봉주 |
1,789 |
3,506 |
|
8 |
워너원방송사고 |
1,711 |
2,481 |
|
9 |
농협인터넷뱅킹 |
1,682 |
6,499 |
|
10 |
조민기 |
1,628 |
3,239 |
|
11 |
유인촌 |
1,618 |
2,265 |
|
12 |
국민은행 |
1,577 |
4,315 |
|
13 |
김흥국 |
1,492 |
2,477 |
|
14 |
이시형 |
1,484 |
2,213 |
|
15 |
배현진 |
1,405 |
2,164 |
|
16 |
안희정 |
1,305 |
2,246 |
|
17 |
부산데이트폭력 |
1,303 |
2,050 |
|
18 |
송지효 |
1,251 |
1,978 |
|
19 |
김기덕 |
1,246 |
1,850 |
|
20 |
설현 |
1,207 |
2,396 |
|
|
|
|
통계 데이터 산출의 한계 안내
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보고서는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닐슨컴퍼니코리아가 작성한 것으로 특정 기업의 미래사업이나 재정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망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나, 전망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, 닐슨컴퍼니코리아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을 대상으로, 표본을 통해 국내 PC인터넷 및 안드로이드OS 스마트폰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표본 오차 그리고 추정치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, Site centric 또는 Browser centric 방법과는 측정 대상(‘학교’ 또는 ‘PC방’과 같은 공공장소 및 해외 발생 트래픽 제외 등) 및 측정기준(페이지 요청 기준이 아닌 페이지 완료 기준 등)의 불일치를 비롯하여 측정 OS의 한계로 인해 조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닐슨컴퍼니코리아가 정의 내린 PC 인터넷 이용자는 최근 1개월 이내 한 번 이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으로, 인터넷 접속 및 이용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, 온라인 게임 접속, 메신저 사용이 모두 포함됩니다.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조사는 유동적인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이용자 인구특성(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, 인구통계학적 구조 등)을 파악하여 닐슨컴퍼니코리아 패널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 및 보정에 활용됩니다.
스마트폰 인터넷 이용자의 경우,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중 만 7세 ~ 만 69세 안드로이드 OS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, M2M, 선불폰 이용자와 중복 가입자는 제외하고 있습니다. 또한 기술 및 정책의 제한으로 iOS를 포함한 기타 OS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측정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닐슨컴퍼니코리아가 정의 내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는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대비 약 83.6%의 비중(2016년 7월 기준)을 보이고 있습니다.
Mobile web 이용행태는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, 크롬, 삼성S 브라우저 이용행태를 대상으로 합니다.
Mobile 내 App과 Web의 이용행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, 개별 App 내 web 이용행태를 포함해 In-app Browsing 방식을 통한 타 서비스 이용은 측정이 불가하여 해당 App 내 트래픽으로 측정되오니,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 모집단 추정조사를 통해 조사된 안드로이드 모집단을 기준으로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 이므로 측정 OS의 한계 및 통계적 가중치 적용에 따른 데이터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니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데이터 측정 한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[ PC 데이터 측정의 한계 ],
[ Mobile 데이터 측정의 한계 ]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