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월의 인터넷 서비스 동향 |
1. PC 인터넷
2018년 2월 PC 인터넷 평균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16.2% 감소한 1,061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2월은 설 연휴로 인한 PC 가용시간 감소로 전연령층에서 평균활동성이 하락하였으며, 특히 30대 및 50대 연령층의 활동성 감소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. 겨울방학 종료 및 신학기 학사일정에 의한 10대 저연령층의 PC 게임 등 Fun 콘텐츠 소비 감소도 전체 평균이용시간 하락폭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|
- 전월 대비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 (2018년 2월) - |
 |
PC인터넷 이용자의 2월 평균 웹사이트 방문 개수는 전월 대비 10.7% 하락한 34.2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평균 이용시간에서 전월 대비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35~39세 및 50~54세 연령층은 평균 방문 사이트 개수에서도 감소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전월 대비 각각 14.7%, 18.3% 하락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 (2018년 2월) - |
 |
2월은 PC 가용시간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PC 사이트 주요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이용 규모 및 평균활동성이 큰 폭으로 하락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주요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, 연말정산 및 부동산 시장의 과열 등의 이슈로 지난 1월 크게 상승한 ‘기관/단체’ 및 ‘금융/부동산’ 카테고리에 대한 방문 유입 및 평균 활동성이 기저효과로 동반 하락하여 전월 대비 전체 순방문자수는 각각 11.6%, 8.8%, 평균체류시간은 각각 10.1%, 13.9% 감소하였습니다. ‘전자상거래’ 카테고리는 3040 여성 이용자를 중심으로 오픈마켓 사이트에 대한 방문 유입 및 평균활동성이 하락세를 보이며 전월 대비 순방문자수와 평균체류시간이 각각 4.4%, 15.5% 감소하였습니다.
|
- PC 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/평균체류시간/페이지뷰 증감률 (2018년 2월) - |
 |
2. Mobile
2월 Mobile 평균 인지이용시간은 전연령층에서 평균 활동성이 하락하여 전월 대비 9.1% 감소한 6,645분으로 나타났습니다. Mobile 에서의 평균 활동성이 가장 높은 13~18세 및 19~24세 연령층의 경우 2월 학사일정으로 게임 및 멀티&엔터 콘텐츠 소비가 감소하여 Mobile 평균 인지이용시간이 각각 6.0%, 9.9% 하락하였습니다. 35~39세 연령층 및 50대 연령층은 게임 및 금융/부동산 관련 콘텐츠 평균 소비 시간이 전월 대비 크게 감소하여 전체 평균 인지이용시간이 감소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Mobile(Web+App) 평균 인지이용시간 (2018년 2월) - |
 |
2월 Mobile 평균 이용 App 개수는 전월 대비 1.2% 하락한 56.4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7~18세 연령층을 제외한 전연령층에서 평균 이용 App 개수가 감소한 가운데, 19~24세, 40~44세 및 60대 연령층에서 평균 이용 App 개수가 전월 대비 가장 큰폭으로 감소하며 전체 하락세를 이끌었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Mobile 이용 App 개수 (2018년 2월) - |
 |
2월 Mobile 주요 카테고리 이용규모는 전월 대비 큰 변동은 없었으나, 주요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평균활동성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주요 카테고리 중 ‘Commerce’는 설연휴 시즌의 영향으로 여성 35~44세 연령층을 중심으로 이용 유입 및 평균활동성이 하락하여 전월 대비 순이용자수는 1.8% 하락하였으며, 평균이용시간과 재이용일수는 각각 16.0%, 7.9% 감소하였습니다. ‘Video’ 서비스는 순이용자수가 보합세를 나타낸 가운데, 평창동계올림픽 실시간 시청 서비스를 제공한 ‘oksusu’, ‘올레 tv 모바일’ 등 통신사 OTT 서비스들의 평균이용시간은 상승하였으나 그 외 동영상 서비스들의 평균활동성은 하락하여 전체 평균이용시간 및 재이용일수는 각각 10.6%, 7.8% 감소하였습니다. ‘Game’ 카테고리는 1월 출시작 ‘야생의 땅: 듀랑고’ 및 2월 신규 출시작 ’검은사막 모바일’의 높은 초기 이용성과에 힘입어 ‘롤플레잉’ 장르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, ‘프렌즈팝콘’, ‘프렌즈마블’, ‘Rider’ 등 캐쥬얼 장르의 약세와 ‘클래시로얄’, ‘마인크래프트’ 등 장기 출시작의 이용실적 하락으로 전체 평균이용시간은 5.9%, 재이용일수는 7.1% 감소하였습니다.
|
- Mobile 카테고리별 이용자수/평균이용시간/재이용일수 증감률 (2018년 2월) - |
 |
3. PC Query Trend
2월 PC 인터넷 검색어 TOP 20는 ‘유튜브’, ‘네이버’ 등 서비스 내비게이션 목적의 검색어가 최상위권에 위치한 가운데, 최근 큰 이슈로 자리 잡은 미투(Me Too) 관련 검색어가 상위권을 기록하였습니다. 특히, 연예계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의 영향으로 피해자 및 가해자로 보도된 연예인 및 관련 검색어가 상위권에 올랐습니다. 2월에는 이외에도 열애설, 마약혐의 등에 연관된 연예계 인사와 ‘대만지진’ 등의 국외 이슈가 주요 관심 키워드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2018년 2월의 PC 인기 검색어 순위 - |
(단위: 1,000) |
순위 |
검색어 |
순방문자 |
쿼리수 |
1 |
유튜브 |
3,163 |
13,567 |
|
2 |
네이버 |
2,457 |
7,770 |
|
3 |
조민기카톡 |
1,954 |
3,336 |
|
4 |
농협인터넷뱅킹 |
1,825 |
6,577 |
|
5 |
다음 |
1,819 |
5,480 |
|
6 |
민원24 |
1,621 |
2,848 |
|
7 |
구글 |
1,607 |
5,709 |
|
8 |
송하늘 |
1,574 |
2,531 |
|
9 |
국민은행 |
1,572 |
4,345 |
|
10 |
조민기 |
1,470 |
3,111 |
|
11 |
전현무 |
1,401 |
2,177 |
|
12 |
김보름 |
1,313 |
2,585 |
|
13 |
대만지진 |
1,280 |
1,875 |
|
14 |
육지담 |
1,251 |
1,775 |
|
15 |
최율 |
1,238 |
2,303 |
|
16 |
정석원 |
1,173 |
1,958 |
|
17 |
이윤택 |
1,168 |
1,765 |
|
18 |
필리핀성폭행 |
1,152 |
1,796 |
|
19 |
신한카드 |
1,142 |
2,509 |
|
20 |
김지현 |
1,101 |
1,865 |
|
|
|
|
통계 데이터 산출의 한계 안내
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보고서는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닐슨컴퍼니코리아가 작성한 것으로 특정 기업의 미래사업이나 재정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망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나, 전망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, 닐슨컴퍼니코리아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을 대상으로, 표본을 통해 국내 PC인터넷 및 안드로이드OS 스마트폰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표본 오차 그리고 추정치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, Site centric 또는 Browser centric 방법과는 측정 대상(‘학교’ 또는 ‘PC방’과 같은 공공장소 및 해외 발생 트래픽 제외 등) 및 측정기준(페이지 요청 기준이 아닌 페이지 완료 기준 등)의 불일치를 비롯하여 측정 OS의 한계로 인해 조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닐슨컴퍼니코리아가 정의 내린 PC 인터넷 이용자는 최근 1개월 이내 한 번 이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으로, 인터넷 접속 및 이용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, 온라인 게임 접속, 메신저 사용이 모두 포함됩니다.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조사는 유동적인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이용자 인구특성(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, 인구통계학적 구조 등)을 파악하여 닐슨컴퍼니코리아 패널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 및 보정에 활용됩니다.
스마트폰 인터넷 이용자의 경우,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중 만 7세 ~ 만 69세 안드로이드 OS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, M2M, 선불폰 이용자와 중복 가입자는 제외하고 있습니다. 또한 기술 및 정책의 제한으로 iOS를 포함한 기타 OS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측정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닐슨컴퍼니코리아가 정의 내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는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대비 약 83.6%의 비중(2016년 7월 기준)을 보이고 있습니다.
Mobile web 이용행태는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, 크롬, 삼성S 브라우저 이용행태를 대상으로 합니다.
Mobile 내 App과 Web의 이용행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, 개별 App 내 web 이용행태를 포함해 In-app Browsing 방식을 통한 타 서비스 이용은 측정이 불가하여 해당 App 내 트래픽으로 측정되오니,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 모집단 추정조사를 통해 조사된 안드로이드 모집단을 기준으로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 이므로 측정 OS의 한계 및 통계적 가중치 적용에 따른 데이터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니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데이터 측정 한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[ PC 데이터 측정의 한계 ],
[ Mobile 데이터 측정의 한계 ]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