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월의 인터넷 서비스 동향 |
1. PC 인터넷
2017년 8월 PC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0.6% 증가한 1,290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여름방학을 맞이한 18세 이하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평균 이용시간이 크게 증가하였고, 20대 후반~ 30대 초반 연령층, 40대 초반 연령층에서도 활동성이 향상되며 전월 대비 전체 PC 인터넷 이용시간은 소폭 증가한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.
|
- 전월 대비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 (2017년 8월) - |
 |
8월 인터넷 이용자는 전월과 동일하게 평균 39.7개의 웹사이트를 방문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평균 이용시간이 크게 증가한 7~12세 연령층은 방문 사이트 개수도 전월 대비 10.3% 증가하였으며, 평균 이용시간이 4.0% 증가한 40대 초반 연령층의 방문 사이트 개수 또한 증가세를 보여, 전월 대비 5.0% 늘어난 50.7개의 사이트를 방문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 (2017년 8월) - |
 |
주요 카테고리별로, ‘포털’ 카테고리는 전월 여름 휴가 영향으로 약화되었던 활동성이 기존 수준을 회복하며 평균 체류시간은 1.4%, 페이지뷰는 1.2% 증가하였습니다. ‘엔터테인먼트’ 카테고리는 30대 이상 연령층을 중심으로 방문자가 1.4% 증가하였으며, 20대 이하의 저연령층의 활동성이 향상되어 카테고리 페이지뷰는 3.1% 증가하였습니다.
반면, ‘스포츠/레저/여행’ 카테고리는 전월 상승세를 견인하였던 ‘여행사’ 및 ‘호텔 및 기타 숙박정보’ 사이트의 성과가 하락하며 전체 카테고리 방문자는 1.2%, 페이지뷰는 7.6% 감소하였습니다. ‘비즈니스’ 카테고리는 통신, 전자 등 기업 사이트 방문자의 활동성 둔화로 평균 체류시간은 7.4%, 페이지뷰는 7.9% 감소하였습니다.
|
- PC 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/평균체류시간/페이지뷰 증감률 (2017년 8월) - |
 |
2. Mobile
8월 Mobile App+Web 평균 인지 이용 시간은 전월 대비 0.6% 증가한 7,276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시간이 가장 긴 연령층은 20대 초반으로, 1인당 평균 9,752분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PC를 통한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이 증가하였던 7~12세 연령층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시간 또한 증가하여, 전월 대비 16.1% 상승한 7,579분을 소비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전월 대비 Mobile(Web+App) 평균 인지이용시간 (2017년 8월) - |
 |
8월 Mobile 평균 이용 App 개수는 전월 대비 0.9% 감소한 56.8개로 확인되었습니다. 30대 연령층은 전월 대비 약 1.7% 가량의 이용App 수 감소가 나타나, 약 67개의 App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7~12세 연령층은 평균 이용시간은 증가한 반면, 이용 App 개수는 전월 대비 1.4% 감소한 50.4개로 조사되어, 충성도가 높은 앱 내에서 이용시간 증가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Mobile 이용 App 개수 (2017년 8월) - |
 |
Mobile 주요 카테고리 중 ‘포털(App)’은 이용자수가 0.7%로 소폭 감소하였으나, 전연령층에서 활동성이 향상되어 평균 이용시간은 8.2%, 평균 재이용일수는 1.2% 증가하였습니다. ‘Video’ 서비스의 이용자는 보합세를 보였으며, 평균 이용시간은 5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모두 증가하며 카테고리 전체로는 4.7% 상승하였습니다. ‘Commerce’ 카테고리의 이용자수는 1.3% 증가하였으나, ‘오픈마켓’과 ‘종합쇼핑몰’ 업태를 중심으로 평균 이용시간이 감소하여 카테고리 전체 평균 이용시간이 4.0% 하락하였습니다.
|
- Mobile 카테고리별 이용자수/평균이용시간/재이용일수 증감률 (2017년 8월) - |
 |
3. PC Query Trend
8월 PC인터넷 검색어 Top 20은 전월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며 ‘유튜브’, ‘네이버’, ‘다음’ 등의 내비게이션 목적의 검색어가 최상위권에 진입하였으며, ‘농협인터넷뱅킹’, ‘국민은행’, ‘신한은행’ 등 금융 관련 검색어도 다수 상위권에 진입하였습니다. 또한 ‘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을 축하하는 ‘고마워요 문재인’, 공판 진행으로 관심이 집중된 ‘이재용’ 등의 정치 이슈에 대한 검색어 활용이 높았던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2017년 8월의 PC 인기 검색어 순위 - |
(단위: 1,000) |
순위 |
PC |
검색어 |
순방문자 |
쿼리수 |
1 |
유튜브 |
3,409 |
15,845 |
|
2 |
네이버 |
2,691 |
13,220 |
|
3 |
다음 |
2,056 |
6,538 |
|
4 |
구글 |
2,050 |
6,524 |
|
5 |
농협인터넷뱅킹 |
1,718 |
6,385 |
|
6 |
국민은행 |
1,544 |
4,043 |
|
7 |
날씨 |
1,475 |
4,835 |
|
8 |
송선미 |
1,299 |
2,191 |
|
9 |
고마워요문재인 |
1,268 |
2,380 |
|
10 |
민원24 |
1,228 |
2,118 |
|
11 |
위메프 |
1,200 |
2,513 |
|
12 |
태풍노루 |
1,192 |
1,648 |
|
13 |
쿠팡 |
1,190 |
2,360 |
|
14 |
박기영 |
1,156 |
2,159 |
|
15 |
임시공휴일 |
1,124 |
1,569 |
|
16 |
용가리과자 |
1,118 |
1,485 |
|
17 |
신한은행 |
1,110 |
2,715 |
|
18 |
배현진 |
1,105 |
1,939 |
|
19 |
이재용 |
1,077 |
1,795 |
|
20 |
옥션 |
1,032 |
2,691 |
|
|
|
|
<통계 데이터 산출의 한계 안내>
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보고서는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리안클릭이 작성한 것으로 특정 기업의 미래사업이나 재정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망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나, 전망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, 닐슨코리안클릭(이하 코리안클릭)은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을 대상으로, 표본을 통해 국내 PC인터넷 및 안드로이드OS 스마트폰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표본 오차 그리고 추정치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, Site centric 또는 Browser centric 방법과는 측정 대상(‘학교’ 또는 ‘PC방’과 같은 공공장소 및 해외 발생 트래픽 제외 등) 및 측정기준(페이지 요청 기준이 아닌 페이지 완료 기준 등)의 불일치를 비롯하여 측정 OS의 한계로 인해 조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코리안클릭이 정의 내린 PC 인터넷 이용자는 최근 1개월 이내 한 번 이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으로, 인터넷 접속 및 이용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, 온라인 게임 접속, 메신저 사용이 모두 포함됩니다.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조사는 유동적인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이용자 인구특성(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, 인구통계학적 구조 등)을 파악하여 코리안클릭 패널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 및 보정에 활용됩니다.
스마트폰 인터넷 이용자의 경우,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중 만 7세 ~ 만 69세 안드로이드 OS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, M2M, 선불폰 이용자와 중복 가입자는 제외하고 있습니다. 또한 기술 및 정책의 제한으로 iOS를 포함한 기타 OS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측정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코리안클릭이 정의 내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는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대비 약 83.6%의 비중(2016년 7월 기준)을 보이고 있습니다.
Mobile web 이용행태는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, 크롬, 삼성S 브라우저 이용행태를 대상으로 합니다.
Mobile 내 App과 Web의 이용행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, 개별 App 내 web 이용행태를 포함해 In-app Browsing 방식을 통한 타 서비스 이용은 측정이 불가하여 해당 App 내 트래픽으로 측정되오니,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 모집단 추정조사를 통해 조사된 안드로이드 모집단을 기준으로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 이므로 측정 OS의 한계 및 통계적 가중치 적용에 따른 데이터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니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데이터 측정 한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[ PC 데이터 측정의 한계 ],
[ Mobile 데이터 측정의 한계 ]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