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년 5월의 인터넷 서비스 동향 |
1. PC 인터넷
2017년 5월 PC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3.9% 증가한 1,296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중간고사 일정이 마무리된 13~25세 학생층을 비롯하여 40대 후반 이상 연령층에서 1인당 평균 이용시간이 향상되면서 전체 PC 인터넷 이용시간 상승을 견인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PC 인터넷 평균 이용시간 (2017년 5월) - |
 |
5월 인터넷 이용자의 평균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는 전월 대비 2.6% 증가한 40.0개로 나타났습니다. 13~24세 연령층의 웹사이트 방문 개수가 전월 대비 4% 이상 증가하였고 20대 후반 연령층은 전월 대비 8.3% 증가하여 1인당 평균 48.3개 사이트를 방문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40대 초반 및 후반 연령층의 1인당 웹사이트 방문 개수는 각각 전월 대비 2.5%, 3.3% 증가한 48.8개, 47.4개로 나타났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PC 웹사이트 방문 개수 (2017년 5월) - |
 |
주요 카테고리의 성과는 방문자 규모 및 활동성 측면에서 대부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대선 및 U-20 월드컵 등 다양한 분야의 이슈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‘포털사이트’ 카테고리의 평균 체류시간과 페이지뷰는 전월 대비 3% 이상 증가하였습니다. ‘비즈니스’ 카테고리는 5월 중순 랜섬웨어 확산으로 인해 ‘컴퓨터관련기업’ 카테고리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방문자수와 평균 활동성이 상승하였습니다. ‘엔터테인먼트’ 카테고리는 5월 장기 연휴 동안 ‘동영상’ 및 ‘만화’, ‘영화/공연’ 등 카테고리 이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평균 체류시간이 10.3%, 페이지뷰가 13.1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반면, ‘스포츠/레저/여행’ 카테고리는 연휴 이전 기간인 4월 동안 상승분의 기저효과가 발생하여 평균 체류시간과 페이지뷰가 10% 이상 감소하였습니다.
|
- PC 사이트 카테고리별 방문자수/평균체류시간/페이지뷰 증감률 (2017년 5월) - |
 |
2. Mobile
5월 Mobile App 평균 이용시간은 전월 대비 6.0% 증가한 7,269분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30대 초반연령층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평균 이용시간이 전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, 1인 평균 이용시간이 가장 높은 13~29세 연령층이 전월 대비 10.0% 내외로 증가하며 활동성을 견인하였습니다.
|
- 전월 대비 Mobile(Web+App) 평균 인지이용시간 (2017년 5월) - |
 |
* 평균 인지 이용시간: 측정 기간 동안 이용자의 인지 하에 이용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평균 이용시간을 나타냅니다.(백그라운드 음악, 홈/런처 이용 시간을 제외함)
|
5월 Mobile 평균 이용App개수는 전월 대비 3.1% 증가한 56.5개로 조사되었습니다. 1인당 평균 60개 이상 이용하는 20대~40대 초반 연령층이 평균 이용App 개수의 증가세를 견인하였습니다. 13~18세 학생층과 40대 후반~50대 연령층의 평균 이용App 개수도 전월 대비 2%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|
- 전월 대비 연령별 Mobile 이용 App 개수 (2017년 5월) - |
 |
Mobile 주요 카테고리의 성과는 전반적으로 전월 대비 상승하였습니다. 커뮤니케이터(APP) 및 포털(APP) 카테고리의 재이용일수는 13~24세 연령층을 중심으로 각각 전월 대비 3.7%, 2.4% 증가하였습니다. ‘Video’ 카테고리는 5월 장기 연휴를 비롯하여 2017 U-20 월드컵 조별 리그 기간 동안 이용량이 대폭 증가하면서 평균 이용시간이 전월 대비 13.0% 증가하였습니다. ‘Community’ 카테고리와 ‘Game’ 카테고리도 5월 1일 및 8일 주간을 중심으로 활동성이 상승하여 전월 대비 평균 이용시간이 각각 9.5%, 9.0%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|
- Mobile 카테고리별 이용자수/평균이용시간/재이용일수 증감률 (2017년 5월) - |
 |
3. PC Query Trend
5월 PC인터넷 검색어 Top 20은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의 영향으로 ‘민원24’, ‘국세청홈텍스’가 상위권에 나타났습니다. 또한 대선과 내각 임명 등 정치사회 이슈에 대한 높은 관심사가 반영되어 ‘이낙연’, ‘임종석’, ‘문재인’이 20위권 안에 진입하였습니다. 이 외에 ‘유튜브’, ‘네이버’, ‘다음’ 등의 내비게이션 목적의 검색어가 Top3 상위권을 유지하였습니다.
|
- 2017년 5월의 PC 인기 검색어 순위 - |
(단위: 1,000) |
순위 |
PC |
검색어 |
순방문자 |
쿼리수 |
1 |
유튜브 |
3,245 |
13,663 |
|
2 |
네이버 |
2,921 |
11,943 |
|
3 |
다음 |
2,365 |
6,975 |
|
4 |
구글 |
2,002 |
5,433 |
|
5 |
농협인터넷뱅킹 |
1,855 |
8,064 |
|
6 |
국민은행 |
1,754 |
4,750 |
|
7 |
민원24 |
1,442 |
2,668 |
|
8 |
날씨 |
1,402 |
3,917 |
|
9 |
국세청홈텍스 |
1,367 |
2,681 |
|
10 |
신한카드 |
1,314 |
3,136 |
|
11 |
필리핀계엄령 |
1,234 |
1,658 |
|
12 |
쿠팡 |
1,225 |
2,530 |
|
13 |
신한은행 |
1,222 |
3,178 |
|
14 |
위메프 |
1,147 |
2,522 |
|
15 |
옥션 |
1,088 |
2,110 |
|
16 |
이낙연 |
1,085 |
1,772 |
|
17 |
임종석 |
1,085 |
1,859 |
|
18 |
우리은행 |
1,074 |
3,470 |
|
19 |
문재인 |
1,054 |
3,135 |
|
20 |
11번가 |
1,014 |
2,010 |
|
|
|
|
<통계 데이터 산출의 한계 안내>
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보고서는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리안클릭이 작성한 것으로 특정 기업의 미래사업이나 재정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망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나, 전망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, 닐슨코리안클릭(이하 코리안클릭)은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을 대상으로, 표본을 통해 국내 PC인터넷 및 안드로이드OS 스마트폰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표본 오차 그리고 추정치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, Site centric 또는 Browser centric 방법과는 측정 대상(‘학교’ 또는 ‘PC방’과 같은 공공장소 및 해외 발생 트래픽 제외 등) 및 측정기준(페이지 요청 기준이 아닌 페이지 완료 기준 등)의 불일치를 비롯하여 측정 OS의 한계로 인해 조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코리안클릭이 정의 내린 PC 인터넷 이용자는 최근 1개월 이내 한 번 이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만 7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국내 거주 내국인으로, 인터넷 접속 및 이용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, 온라인 게임 접속, 메신저 사용이 모두 포함됩니다.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 추정조사는 유동적인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이용자 인구특성(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, 인구통계학적 구조 등)을 파악하여 코리안클릭 패널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의 신뢰성 검증 및 보정에 활용됩니다.
스마트폰 인터넷 이용자의 경우,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중 만 7세 ~ 만 69세 안드로이드 OS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, M2M, 선불폰 이용자와 중복 가입자는 제외하고 있습니다. 또한 기술 및 정책의 제한으로 iOS를 포함한 기타 OS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측정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코리안클릭이 정의 내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는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대비 약 83.6%의 비중(2016년 7월 기준)을 보이고 있습니다.
Mobile web 이용행태는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, 크롬, 삼성S 브라우저 이용행태를 대상으로 합니다.
Mobile 내 App과 Web의 이용행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, 개별 App 내 web 이용행태를 포함해 In-app Browsing 방식을 통한 타 서비스 이용은 측정이 불가하여 해당 App 내 트래픽으로 측정되오니,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또한 모집단 추정조사를 통해 조사된 안드로이드 모집단을 기준으로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한 데이터 이므로 측정 OS의 한계 및 통계적 가중치 적용에 따른 데이터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니 해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데이터 측정 한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[ PC 데이터 측정의 한계 ],
[ Mobile 데이터 측정의 한계 ]
|
|